Marketing/Google Campaign Manager

구글 캠페인 매니저 101 (구 DCM 더블클릭 매니저) (1) 개요

레이지팤 2020. 3. 10. 00:01

안녕하세요! 

 

오늘은 구글 마케팅 프로덕트 중 하나인 구글 캠페인 매니저 (구: 더블클릭 매니저 Double click manager, DCM)에 대해 간략히 적어보고자 합니다. 국내에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도 자료도 적었기에, 오로지 구글에서 제공하는 교육 자료들로 조금씩 배워나가기 시작했는데요. SA 360과 더불어 함께 이용하고 있는 툴입니다. 아직도 배울 것이 많지만, 조금씩 정리해 나가보려구요.

 

몇 가지 설명을 보긴 하였지만, 지금까지 본 설명 중에 아래 그림이 구글 캠페인 매니저를 이해하기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.

 

 

 

출처: 구글 

 

 

기존에 GA나, 어도비, SA 360을 통해 캠페인 성과를 측정했던 분들이라면, 보다 쉽게 이 컨셉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플러드라이트로 전환 등 성과를 측정하는데, 랜딩 url tweak으로 각 광고 publisher 사이트에서 어떤 광고를 통해 내 웹사이트 (혹은 타 웹사이트-플러드라이트가 없는 경우에는 전환 측정이 되지 않지만 클릭은 확인 가능)에 들어갔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클릭 뿐만 아니라, 퍼블리셔 사이트의 노출값도 확인 할 수는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광고 단에서 자바 스크립트를 심거나 스탠다드 태그를 적용해야하는데 이 부분은 차차 제가 아는 선에서 풀어가도록 할게요! 

 

GA로 측정하면 되지, 왜 굳이 이것을 써야하나 질문하실 수도 있겠지만, GA 등의 애널리틱스 툴은 보다 큰 그림에서 가지 (트래픽 소스)를 잡는 느낌이라면, DCM은 Paid media 영역에서 보다 세분화하게 성과를 reporting 친화적으로 관리해 주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. 크리에이티브 별로 각 소스를 플레이스먼트, 애드 영역에 구분해서 hierarchical로 관리가 쉽고, 심지어 태그도 다운로드만 하면 생성해 주는 걸요! 알면 너무나 편한 툴인 것 같기도 합니다. 몇 년이 지난 캠페인의 성과도 바로 리포팅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니까, 글로벌단으로 진행하는 수백개의 캠페인을 생각하면 관리 측면에서 정말 효율적이겠죠. 

 

그림 내 각 용어는 아래 링크에 주석으로 자세히 나오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 

특히나 placement 등의 용어는 생소할 수 있으니,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. 

그럼 다음에 찾아뵐게요. 디지털 마케팅 하시는 분들이라면 구독하시고 편히 소통해주세요!

(잘못된 내용 정정이나 추가 피드백도 환영입니다. 함께 배워가요)

 

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doubleclick-advertisers/getting_started

https://skillshop.exceedlms.com/student/catalog/list?category_ids=317-campaign-manager